다시 오르는 금, 4천불 돌파는 시작일 뿐인가?
지난 몇 달간 잠잠했던 금 시장이, 8월 들어 조심스레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올해 초 강한 상승 이후 일부 투자자들은 랠리가 끝났다고 생각했지만, 금은 다시 의미 있는 방향성을 만들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과 펀더멘털 모두, 금 가격이 곧 온스당 4천불 이상을 향해 나아갈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금 가격의 기술적 흐름과 중장기 펀더멘털을 함께 짚어봅니다.
차트가 먼저 움직인다
2024년 겨울, 금 가격은 삼각 패턴(triangle pattern)을 형성하며 횡보하다가 상방 돌파에 성공했고, 이후 단기간에 $900 상승하는 랠리를 보였습니다. 그리고 2025년 8월, 놀랍도록 유사한 패턴이 다시 나타나고 있습니다. 여름철 거래량이 감소하는 시기임에도 이런 구조가 형성됐다는 점은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
기술적 분석인 ‘측정 이동(measured move)’ 기법을 적용하면, 현재 패턴도 과거와 유사한 상승폭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 금 가격은 온스당 약 $4,400, 상승률로는 약 28%에 달합니다. JP모건과 골드만삭스 역시 2026년에 금 가격이 $4,000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이 수치는 결코 과장이 아닙니다.
또한, 2011년부터 이어진 장기적 컵&핸들(cup and handle) 패턴은 2024년 3월 상방 돌파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장기 강세장의 신호일 가능성이 높으며, 과거 패턴을 보면 금 가격의 상승은 10년 이상 지속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금값을 밀어올리는 거시 환경
기술적 분석뿐 아니라, 현재 금의 상승을 지지하는 거시적 환경도 매우 견고합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 급등: 7월 미국 고용지표는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고, 이전 수치도 대폭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45%에서 75%로 급등했고, 이는 달러 약세와 함께 금 가격에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미국 통화량 폭증: 2023년 말 이후, 미국 M2 통화 공급은 $1.36조 증가, 총 $22조를 돌파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실물 자산으인 금 수요를 자극합니다.
멈추지 않는 국가 부채: 미국의 국가 부채는 이미 $37.19조에 달하며, 향후 $40조 돌파는 시간문제입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One Big Beautiful Bill Act’는 향후 10년간 $4조 이상의 추가 부채를 발생시킬 전망입니다. 민주당/공화당 정권에 상관없이 미국 재정은 구조적으로 악화되고 있으며, 이는 금 가격에 매우 우호적으로 작용합니다.
중앙은행들의 기록적 금 매입: 팬데믹 이후, 전 세계 중앙은행은 매년 1,000톤 이상 금을 매입 중입니다. 이는 2010년대 평균의 두 배이며,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방어자산으로 금의 역할이 재확인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미국과 전세계가 갈등을 빚고 달러에 대한 신뢰가 약해지는 지금, 여러 중앙은행들은 달러나 미국 국채 대신에 금을 더 신뢰하기 시작했습니다.
주식 vs. 금: 자본 흐름의 변화
주식과 금은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자산입니다. 최근에는 과열된 주식 시장에서 금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초기 국면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Dow-to-Gold 비율 붕괴: 2024년 봄, 다우지수 대비 금 가격 비율이 2012년 이후 유지되던 상승 추세를 마감하고 하락 방향으로 전환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과거에도 자산 간 자본 이동의 시작점이었습니다. 이 흐름이 지속될 경우, 금 가격은 10~15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버핏 지수가 경고하는 거품: 미국 주식 시가총액 대비 GDP 비율인 ‘버핏 인디케이터’는 현재 214%로, 장기 평균(86%)의 2.5배 이상입니다. 이는 닷컴버블보다도 높은 수준입니다. 워런 버핏은 "200%에 가까우면 불장난 수준"이라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본격 유입되지 않은 개인자금
현재 금 시장은 중앙은행과 중국/인도 중심의 아시아 투자자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미국을 포함한 서구 개인 투자자들의 참여는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습니다.
대표적인 금 ETF인 SPDR Gold Shares (GLD)의 보유량은 현재 953톤으로, 2012년 고점인 1,350톤보다 상당히 낮습니다. 현재 금 가격은 당시보다 40% 이상 상승했지만, 대표적인 금 ETF의 실물 보유량은 시장 가격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곧, 미국/서구의 개인 자금이 본격 유입될 경우 금 시장은 한층 더 폭발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대세 상승은 지금부터
금을 둘러싼 시장 환경은 기술적 흐름, 펀더멘털, 자본이동 추이 모든 면에서 강세 시그널을 보내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4,400 돌파, 장기적으로는 $15,000까지의 상승 여력도 충분하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다음 랠리의 분기점은, 현재 형성되고 있는 삼각 패턴의 상방 돌파 시점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금 대세 상승을 견인하는 요인들:
- 금리 인하 기대 상승
- 미국 통화량 급증
- 국가 부채의 구조적 확대
-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지속
- 주식시장의 고평가에 따른 자본 이동
- 미국 개인 투자자의 대기 자금
미래를 위한 준비: 런던골드실버
한국 금/은 시장은 규모도 작을 뿐더러, 국내 유통망/수급 제약 때문에 투자자들의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런던골드실버는 한국 투자자들이 세계 최상급의 금·은 실물 자산을 직접 구매하고, 유럽 현지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입니다.
런던골드실버가 특별한 이유:
- 스위스, 영국, 독일 등 유럽에서 제작된 프리미엄 금/은 제품만 취급
- 국내 유통망을 거치지 않고, 홈페이지에서 직구
- 골드/실버코인 한 개라도 한국으로 국제 특송
- 일부 제품은 스위스/영국 현지 귀금속 전용 금고에 보관
- 온라인 카드 및 이체 결제 가능
- 런던골드실버/배송업체가 통관/세무 절차 처리
모든 것이 불확실한 시대, 전세계 어디서나 인정받는 실물 자산으로 미래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런던골드실버와 함께 새로운 투자를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 프리미엄 골드바
👉 프리미엄 실버바
※ 본 내용은 투자 자문이 아닌 정보제공 및 마케팅 목적으로 작성되있습니다. 상기 내용 중 상당부분은 'The Bubble Bubble Report'를 참고/인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